중앙은행이 발행한 화폐의 실질가치에서 발행비용을 제한 차익을 의미한다.

화폐의 액면가에서 화폐 제조비용과 유통비용을 뺀 차익으로, 중앙은행이 갖는 독점적 발권력에 의해 발생한다. 정부의 재원이 되는 시뇨리지의 연간 총액은 ‘유통통화량×시장이자율-(제조비용+유통비용)’으로 계산하지만 쉽게 설명하기 위해 제작비용만 따져 예를 들면 1만 원 권의 경우 종이·잉크 등의 재료비와 인쇄비용이 1천 원이라 할 때 시뇨리지는 9천 원에 이른다. 즉, 중앙은행은 1천 원의 비용을 들여 9천원의 이익을 얻는 셈이 된다.

시뇨리지(seigniorage)란 봉건제도 하에서 시뇨르(seigneur; 영주)들이 화폐주조를 통해 이득을 챙겼던 데에서 유래한 말이다. 오늘날 국가는 화폐발행권을 통해 엄청난 시뇨리지를 가지게 되는데, 한국의 경우 원화발행에 따른 시뇨리지는 원화가 통용되는 국내에 국한되지만, 세계에 통용되는 기축통화인 달러를 발행하는 미국의 경우 세계를 대상으로 천문학적인 시뇨리지 효과를 얻게 된다. 예를 들어 미국이 100억 달러를 찍어 이를 외국상품 수입에 쓸 경우 상대적으로 적은 화폐 발행비용만으로도 100억 달러 가치의 실물상품을 얻게 되는 것이다.

[네이버 지식백과] 시뇨리지 [seigniorage] (두산백과)

기축통화국의 지위를 이용해 화폐를 찍어내고 새로운 신용 창출을 통해 끝없이 대외적자를 메워나가는 것을 말한다. 즉 확폐를 발행하면 교환가치에서 발행비용을 뺀 만큼의 이익(화폐주조 이익)이 생기는데 그중에서도 기축통화국, 곧 국제통화를 보유한 국가가 누리는 이익을 일컫는다. 

미국은 달러 발권량을 늘리고 무역 흑자국에 국체를 파는 방식으로 적자분을 보전해왔다. 시뇨리지는 인플레이션 세금으로 불리기도 한다. 통화공급을 늘려 인플레이션이 발생하면 기존 통화의 실질가치가 줄어들고 그만큼의 부가 중앙은행으로 가기 때문이다.

 

+ Recent posts